머니
재테크 근본 ‘청년도약계좌’ 5000만원 모으기 막차 타려면
[월요일 트렌드] 뉴닉 에디션 | 2024-12-16

오늘의 짠테크 인사이드 👛: 청년도약계좌
✦✦✦ 짭짤해요
✦✦✧ 조금의 노력이 필요해요
오늘 주제는 짠테크족 사이에서 너무너무 유명한 정책 금융 상품이라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게요. (1) 청년도약계좌, 들어는 봤지만 무엇인지 정확히 몰랐거나 (2) 출시 당시 여러 조건 때문에 신청하지 못했거나 (3) 새로 관심이 생겨 알아보고 싶다면 따라와요! 뉴닉 <솔티라이프>, 오늘의 주제는 ‘청년도약계좌 총정리’예요. by. 뉴닉 에디터 오월 🍕
🔎 뭐냐면: 나라 도움으로 5000만 원 만들기
청년도약계좌는 작년 6월부터 가입을 시작한 정책 금융 상품으로, 쉽게 말해 청년들이 5년 동안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통장이에요 👛.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넣을 수 있는데요. 금리가 최대 6%까지 붙고, 정부가 기여금도 보태줘요. 청년도약계좌 조건을 더 자세히 짚어보면:
● 나이: 19~34세* 청년 중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다면 가입할 수 있어요.
● 조건: 1년 동안 버는 돈이 7500만 원을 넘으면 안 돼요. 연 소득이 7500만 원 아래여도 가구소득이 중위소득의 250%를 넘지 않아야 하고요. 즉 혼자 산다면 한 달에 버는 돈이 약 350만 원이 넘으면 안 되고, 네 식구가 같이 산다면 가족이 합쳐 한 달에 약 1350만 원(연 소득 약 1억 6000만 원) 아래로 벌어야 하는 것*.
*병역의무이행자는 군 복무 기간만큼(최대 6년) 연장할 수 있어요.
**올해 3월부터 기존 180%에서 250%로 개선됐어요.
***2023년 기준
청년도약계좌 혜택, 자세히 살펴보면:
● 보통 적금 찾을 때 이자로 받은 돈(=이자소득)의 15.4%는 세금으로 떼는데요. 청년도약계좌는 이 세금을 떼지 않아 일반 적금 상품과 비교해 실질 수익률이 높아져요.
● 내가 돈을 넣으면 정부도 매달 최대 2만 4000원을 더해주고요(아래 표 참고).

💸 뭐가 좋냐면: 출시 때보다 더 좋아졌어요
청년도약계좌의 인기가 이어지는 이유, 기존의 강력한 혜택 때문도 있지만 올해 들어 가구소득요건이 완화되거나 중도해지 조건이 추가되는 등 지원 방안이 더 강화됐기 때문인데요 🤑:
● 가구소득요건 DOWN: 기존 180% → 250%로 늘어났어요. 따라서 출시 당시 가구소득 때문에 가입하지 못했다면 다시 알아보는 게 좋은데요. 작년 연 소득 기준으로 1인 가구 6233만 6760원, 2인 가구 1억 368만 4650원, 3인 가구 1억 3304만 4480원, 4인 가구 1억 6202만 8920원 이하면 가입할 수 있어요.
● 중도 해지도 OK: 5년을 다 채우지 않고, 3년만 유지한 뒤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해도 연 최대 4.5%의 금리가 적용돼요. 기존 1.0~2.4% 수준에서 3.8~4.5%로 높아진 것. 이자소득 비과세와 정부기여금 등 기존 혜택도 유지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면 연 6.9%의 일반 적금상품에 가입한 수준의 수익을 기대해볼 수 있어요.
● 혼인∙출산도 OK: 중도 해지하면서 연 최대 6% 금리 혜택까지 그대로 받을 수 있는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과 출산이 추가됐어요.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기간에 상관없이 이자소득 비과세와 정부기여금의 청년도약계좌 혜택을 챙길 수 있어요.
● 육아∙군인도 OK: 원래는 육아휴직 급여∙수당과 군 장병급여는 개인소득으로 인정되지 않았는데요. 이제는 인정되어 육아휴직자와 군 장병들도 가입할 수 있게 됐어요.
*기존 사유: 생애최초 주택구입,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가입자의 사망∙해외 이주,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어떻게 하냐면: 우대금리 조건 비교는 필수
기본적으로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후 계좌에 매달 70만 원씩 꼬박꼬박 넣으면 돼요. 하지만 기본금리(연 3.8~4.5%)에 더해 우대금리까지 받아 연 6%를 맞춰야 5000만 원을 만들 수 있는데요. 우대금리는 은행마다 다르고, 모든 은행을 통틀어 1개의 계좌만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할 은행을 꼼꼼히 비교해보는 게 좋아요. 각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을 비교·정리해보면 🏦:
● KB국민은행: 급여이체 36개월 이상(0.6%p), 자동납부(0.3%p) 등
● 우리은행: 가입기간 절반 이상 급여이체(1%p), 신규가입(0.5%p), 우리카드 결제실적 보유(0.5%p) 등
● 하나은행: 급여이체 36개월 이상(0.6%p), 하나카드 결제실적 보유(0.2%p), 첫 거래(0.5%p) 등
● NH농협은행: 급여이체 50개월 이상(0.5%p), NH농협카드 월평균 20만 원 이상 이용(0.2%p) 등
● 신한은행: 급여이체 30개월 이상(0.3%p), 신한카드 결제 30개월 이상(0.3%p), 첫 거래(0.4%p) 등
● IBK기업은행: 급여이체 36개월 이상(0.5%p), 공과금 자동이체 36개월 이상(0.2%p), 카드 연평균 200만 원 이상 사용(0.2%p), 첫 거래(0.3%p) 등
● iM뱅크: 마케팅 동의(0.3%p), 주택청약 보유(0.5%p), 자동이체 30회 이상(0.7%p) 등
● BNK부산은행∙광주은행: 급여이체 30개월 이상(0.5%p), 첫 거래(0.5%p), 가입기간 중 카드 실적 500만 원 이상 사용(0.5%p) 등
● 전북은행: 가입기간 절반 이상 급여이체(0.7%p)∙자동이체(0.3%p)∙카드 이용(0.5%p), 마케팅 동의(0.2%p) 등
● BNK경남은행: 가입기간 절반 이상 급여이체(0.7%p), 주택청약 보유(0.4%p), 첫 거래(0.4%p) 등
꼭 알아둬야 할 것은 바로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인데요 📆. 언제나 가입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 매달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고, 이번달(12월) 신청은 오는 18일(수)까지 각 은행 홈페이지나 앱에서 가능해요. 다음달 3일까지 가입요건 확인 절차가 진행되고, 그 뒤에 계좌가 개설되니 참고해요.

🧂 짭짤하게 즐기려면: 현명하게 청년도약계좌 활용하는 법
● 연 소득 6000만 원 넘으면 💰: 청년도약계좌 조건에 따라 연 소득 7500만 원만 넘지 않으면 가입은 가능하지만, 연 소득이 6000만 원 이상이라면 비과세 혜택만 적용되고 정부 지원금은 받을 수 없어요. 따라서 기대한 5000만 원을 모으지 못할 수 있으니, 타 은행의 다른 상품을 선택하는 게 더 나을 수도 있어요.
● 청약통장 환승하려면 🏠: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금은 청년 주택드림 청약 통장으로 한 번에 납입할 수 있으니 참고해요. 단, 만기 후 3개월 이내에 증빙 서류를 가지고 은행에 방문해야 돼요.
● 내년엔 더 좋아져요 🙆: 2년 이상 납입한 경우 시중은행의 예·적금처럼, 청년도약계좌도 납입액의 최대 40%까지 긴급인출이 가능해져요. 또한 2년 넘는 기간 동안 800만 원 이상을 납입하면 신용점수도 최대 10점 올려주고요.

뉴닉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습니다.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NEWNEEK Co., Ltd.

다른 아티클 둘러보기

Z세대는 요즘 다 쓴다고? 오래된 디카가 유행하는 이유
비욘드트렌드: 트렌드 너머, 숨겨진 인사이트

“우리는 왜 끝없이 ‘나’를 궁금해할까?” HSP 테스트와 ‘셀프 분석’ 트렌드의 모든 것 🤔
비욘드트렌드: 트렌드 너머, 숨겨진 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