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방법

베터 | 2024-11-21

feed-section-image

매년 우리는 새로운 일에 도전할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4월쯤이면 ‘올해도 생각보다 수월하지 않겠다’는 사실을 알게 되죠. 물론 그렇지 않은 사람도 많겠지만, 과정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은 막연한 꿈을 꾸는 사람보다 더 쉽게 상상을 현실로 이룰 수 있을 거예요. 오늘은 영화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와 함께 기록에 동기부여가 되는 ‘시각화의 힘’ 이론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어느 몽상가 이야기


영화의 주인공 ‘월터’는 몽상가입니다. 매거진 <LIFE> 사에서 오랫동안 사진 관리자로 일하고 있는 그의 취미는 ‘상상하기’죠. 상상에선 불이 난 건물로 뛰어 들어가서 짝사랑하는 여자 ‘셰릴'의 반려견을 구하고, 자신을 해고하러 온 상사와 대결을 벌이는 영웅이 됩니다. 가끔은 상상에 몰입하느라 현실 속 대화를 놓치기도 해요. 그러던 어느 날 <LIFE> 지의 마지막 커버 사진이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하고, 그 사진을 찾기 위해 월터는 무모한 모험을 떠나기로 마음먹게 됩니다. 그리고 몽상가였던 월터는 자신의 상상보다 더 놀라운 경험을 현실로 마주하게 됩니다.


월터는 평소 셰릴에게 근사하게 보이고 싶었고, 가족과 회사 사이에서 자신의 무기력한 모습에 불만족을 느끼던 찰나, ‘삶의 정수’가 담긴 최후의 표지 사진으로부터 강력한 목표 의식을 느꼈어요. 우리 주위의 많은 사람들도 월터처럼 어떻게 하면 자신이 원하는 바를 현실로 이룰 수 있을지 관심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베스트셀러 작가 되기', ‘산티아고 순례길 걷기’, '유럽 배낭여행 하기' 같은 꿈 말이죠.


연구로 증명된 시각화의 힘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는 ‘결과 시각화’보다 ‘프로세스 시각화’가 더 효과적입니다.


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신경과학자들은 시각화가 실제 수행에서 따라야 할 청사진 역할을 하는 뇌의 신경 경로를 확립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뇌는 상상과 행동을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상상만으로도 뇌는 새로운 신경 경로를 만들어 낸다는 거죠.


예를 들어 ‘한라산 등반’이 꿈인 사람에게는 정상에 오른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는 ‘결과 시각화’보다 ‘프로세스 시각화’가 더 효과적입니다. 자신이 산에 오르는 과정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그려보는 것이죠. 비슷한 예로 좋은 성적을 ‘목표’로 상상한 학생보다 열심히 공부하는 ‘과정’을 상상한 학생들의 평균 성적이 더 높았습니다. 즉, ‘프로세스 시각화’를 한 학생들의 목표 달성률이 실제로 훨씬 높았던 것입니다.


꿈을 현실로 만들려면


기록이 쌓이면 결과가 남게 돼 있습니다.


영화 속에서 상상을 현실로 만든 과정은 월터가 모험을 떠나는 동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프로세스 시각화의 중요성을 전하고 있습니다. 상상하는 모습을 시각화하고 그 과정을 꾸준히 기록해 보세요. 중요한 건 나와 가장 밀접한 소재에서 출발하고, 최대한 자세하게 그려보고, 동기부여가 부족하다면 스스로 마감을 만들어보세요. 일단 기록이 쌓이면 결과가 남게 돼 있습니다. 그 구체적인 과정을 기록하다 보면 어느새 바라던 꿈에 한 발짝 다가와 있을 것입니다.



겟베터 매거진 Vol. 21

글 : 정규환

일러스트 : 임기환

사진: 영화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스틸


feed-section-image
banner-image

다른 아티클 둘러보기

알아두면 일상에 활력을 주는 의외의 생활 힌트

<Get Better!> Issue. 20

베터 |2024.11.20

이 글을 읽고 식집사가 되기로 함

<Get Better!> Issue. 22

베터 |2024.11.21
footer-logo

(주)엘지유플러스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1-39938 l 대표이사 : 황현식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2 | 통신판매신고 제 2015-서울용산-00481호

© 2024 LG UPLUS | All Rights Reserved